UIUX 3

브랜딩과 디자인 과정🪽

I. 네이밍먼저 앱 브랜딩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네이밍을 진행했다.다양한 지하철/버스 관련 앱이 있었기 때문에 차별화되면서도 가장 직관적이 네이밍을 위해 두 사람의 머리와 챗지피까지 동원해서 고민을 했고, 나중에 지하철 뿐만 아니라 버스 정보까지도 제공할 수 있어 도시의 교통 타이머라는 의미의 '시티타이머'로 결정하게 되었다. II. 브랜딩그 후로 대표적인 이미지를 고민하게 되었는데 타이머, 뛰는 사람, 지하철, 노선도 등 다양한 관련 키워드로 이미지를 수집한 후 그림을 그려보기 시작했다. 특히 지하철과 타이머 이미지를 가지고 많은 테스트를 걸쳤다. 동시에 앱화면 이미지에 대한 아이데이션도 계속하고 있었는데 직관적인 색으로 타이머를 보여주고 싶었고, 처음에는 이런 타이머 형식의 디자인이 나왔다..

앱 UIUX 설계_🪙🪽

'사용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최대한 빠르게 단순하고 직관적이게 제공하는 것'을 이번 프로젝트의 가장 중요한 UX 목표로 설정하였다. 이를 위해서 다양한 UI 방안을 고려해보았는데, 결국 마지막에 반영하게 된 방향은 다음과 같았다: 1. 카드 형태의 직관적인 정보 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직관성이었고, 처음부터 위젯을 고려하며 앱을 설계했기 때문에 위젯과의 연동을 고려해야했다. 특히 위젯 사용은 무조건 편리해야 했기에 앱에서 따로 검색을 하지 않아도 필요한 정보가 늘 위젯에 노출되어 있으면 했다. 하지만, 유저의 개입없이 바로 알 수 있는 정보는 위치 정보 뿐인데, 한 역에도 다양한 호선과 방향의 열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작은 위젯 화면에 이 정보를 모두 담을 수도 없었다는 모순을 발견하였다.  이 문제를 ..

리서치 및 아이데이션_🪙🪽

확실한 기능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는 상태였지만, 추가적으로 리서치를 진행하면서 아이디어를 다듬어 갔다.  1. 레퍼런스 리서치 (지하철, 버스, 대중교통 관련 앱 분석)우선, 시중에 나와있는 대중교통 관련 앱을 최대한 많이 다운받아서 직접 사용해보면서 분석해보았다. 2. 인터뷰 및 페르소나 제작추가적으로 인터뷰를 하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서 가장 필요하다고 느낀 기능, 혹은 불편함, 생활 패턴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. 이하는 인터뷰 내용 전문이다:더보기방**** (27살)**대중교통 이용관련Q1. 출퇴근, 통학, 혹은 약속 장소로 이동할 때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통 수단을 말씀해주세요.→ 버스.Q2. 대중교통을 사용하면서 가장 불편했던 점이 무엇인가요? (예: 길찾기, 대중교통 도착 시간 찾기 등..